본문 바로가기

주식

김기남은 누구인가? (ft. 삼성전자 동학개미 주목?)

목차
1. 도입
2. 근황
3. 김기남 기본 프로필
4. 요약

김기남은 누구인가? (ft. 삼성전자 동학 개미 주목?)

1. 도입

항상 투자자의 입장에서 기본이 되는 것은 회사를 경영하는 주축의 이력을 살피는 일이다. 그런 면에서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김기남을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2. 근황

최근의 그는 삼성전자가 전략적 인수합병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분야의 TSMC를 뛰어넘겠다는 목표를 진두지휘하고 있다.

 

그의 리더쉽이 어디까지 통용되어 그 전략적 성과가 괄목할 만큼 나올지 기대가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 사업의 지배력 강화나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를 탐색하는 것인데, 분야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 방침이다.

3. 김기남 기본 프로필

1958년 출생인 그는 서울대학교 전자공학 학사, 카이스트 대학원 전자공학 석사, UCLA 대학원 전자공학 박사의 학력을 가진 전자공학 외길 전문가였다. 수상내역은 발명의 날 기념식 금탑산업훈장, 장영실상, 산업자원부 장관상이 있으며, 연봉은 2020년 기준 84.7억이다.

개인적인 성격은 냉정하면서도 침착하나 경쟁 상황에 있어서는 공격적인 수를 마다하지 않는 워커홀릭 성향이기에 앞서 다룬 근황에서 TSMC를 뛰어넘기 위한 수로 어떤 행보를 펼칠지 기대가 되기도 한다.

특히 김기남은 자타가 공인하는 반도체 전문가이며, 삼성그룹 내에서 역대 최상위 수준의 기술역량을 가지고 있다. 그 증거가 삼성펠로 선임, 미국 전기전자 학회 석학회원, 미국 공학한림원 회원에 선정된 것이다.

 

업무적인 면을 구체적으로 얘기해보자면, 엔지니어 감각이 탁월하고, 꼼꼼하고 칼같은 일처리, 빠른 속도의 의사결정으로 호평이 자자하다. 이런 핵심인재이기는 했지만 소신이 강해 윗선과 충돌도 여럿 있기는 했다.

 

실질적으로 1메가 D램부터 4기가 D램까지 반도체 세계 최초 기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였고, 국내외 학술지와 특허도 각각 480여 편, 350여 건이다. 개인적인 생활은 매일 오전 6시 30분 이전에 출근하고 오후 9시 퇴근을 반복하며, 시간관리에 철저를 기한다.

4. 요약

오늘은 김기남 부회장에 대해 알아보았다. 위와 같이 반도체에 역대급 전문가 수준의 그가 앞으로 TSMC에 맞아 펼칠 행보를 기대해보자. 삼성전자에 투자한 동학 개미의 승승장구 역시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