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2021년의 김대우, 야구 인생의 전성기? (ft. 많이 오른 연봉 등, 야구의 즐거움)

2021년의 김대우, 야구 인생의 전성기?

김대우는 롯데 자이언츠 소속의 야구선수로서 투수에서 타자로, 그리도 다시 투수로 전향하였다. 고려대를 중퇴하였으며, 프로 입단은 2003년에 한 최고참 선배(1984년 생으로 나이는 2021년 기준 38세)이다. 연봉은 2021년 기준으로 5000만 원이다.

김대우의 플레이 스타일은 189cm의 키에 95kg의 체중으로 피지컬면에서는 최고 중 하나이며, 30대 후반의 나이에도 150대의 공을 던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 많은 이가 놀란다.

이처럼 구속이 좋은 선수라 제구(컨트롤과 커 캔드로 표현하기도 한다. 컨트롤은 스트라이크 존 안쪽에 던지는 능력이고, 패스트볼과 변화구 모두 스트라이크 존에 던진다면 컨트롤이 좋다고 표현한다.

한편 커맨드는 스트라이크 존 안쪽과 바깥쪽에 던지는 능력으로 한가운데를 피해 위아래 코너로도 던질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면만 개선하면 선수치고 노장임에도 불구하고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평이 있다. (지난 시즌에서는 김대우는 패스트볼 위주 투수에서 투심, 커터 등 다양한 구종을 던지기도 했다.)

김대우 선수, 타자 시절?

https://www.youtube.com/watch?v=Z6gw9ftPEC8

데뷔 이후 가장 많은 46경기에 등판하였고, 최근 들어 뒤늦다고도 생각할 수 있는 30대 후반의 나이에 전성기를 맞고 있다. 앞서 얘기한 2021년 연봉 5000만 원도 예전에 비해 많이 오른 수치이다. 지난해 속구 평균 구속 147km/h는 롯데 자이언츠 소속의 투수진에서 가장 빠른 수치이다.

롯데가 도입한 초고속 카메라 등 첨단장비의 도움과 더불어 새 구종을 연마한 것도 연봉을 올리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데이터화여 보면 자신의 눈에는 공이 잘 가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생각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도움이 많이 된다고 김대우는 밝혔다.

https://blissstockinvesting.tistory.com/category

사실 김대우는 초창기에 특급 유망주였지만 프로 지명을 거부하고 대학에 입학하고 갑작스러운 입대를 한다. 2009년에는 한 경기 5 타자 연속 볼넷이라는 오명을 남기기도 했다. 오랜 2군 생활을 거치고 심적으로나 실질 경기적으로나 많은 방황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46경기 등판에 이르기까지 주변의 조언들을 귀 기울여 듣고 꿋꿋하게 버텨왔다. 이에 요즘 들어 그의 야구 인생에 빛을 보는 것이다. 뭐든 지속하면 빛볼 날이 있다는 것을 다시금 깨달을 수 있는 순간이다.